<---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시작--->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끝---> <---구글 웹마스터 도구 코드 시작---> <---구글 웹마스터 도구 코드 끝---> 내 건강보험료 환급금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내 건강보험료 환급금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by 별처럼4 2023. 9. 8.

월급 빼고 다 오른 요즘 한 달에 한 번씩 대출금 이자 빠져나가듯 어김없이 빠져나가는 건강보험료를 보고 있자면 한숨이 절로 나옵니다.

거기다가 내 건강 보험료가 잘못 청구 되어 과오납 되었다면 정말 화가 나실 것입니다.

 

하지만, 과오납 되었다고 해서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이런 상황이라면 기관에서 우편물이나 다른 전자문서 형태로 안내문을 발송해드리기 때문에 충분히 확인하실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큰 금액이 아니시라면 아마도 바쁘셔서 신경을 크게 안 쓰시거나 뒤로 미루시는 분들도 있으실 것입니다.

 

그러나 기억하셔야 할 것은 소멸시효가 있기 때문애 내가 정당하게 낸 보험료는 꼭 돌려받는 기회를 잡으시라는 것입니다.

내건강보험료-환급금-지금바로-신청하세요-섬네일
내건강보험료-환급금-지금바로-신청하세요-섬네일

[목차여기]

 

1. 건강보험료 환급금은 

건강보험료 환급금은 우리가 1년 동안 납부한 보험료가 이중 납부되었거나 과오납 그리고 착오납부되었을 경우 납부자가 되돌려 받으실 수 있도록 해드리는 환급 제도입니다.

 

 2. 건강보험료 환급이유

본인부담액 상한제는 가입자가 1년간 낸 건강보험료에서 보시면 본인 일부 부담금 총액본인부담액을 초과하는 경우 가계에 부담이 갈 수도 있기 때문에 과도한 의료비로 인한 부담을 줄여드리고자 초과액을 공단에서 부담하는 제도입니다.

소득 구간을 10단계로 나누어서 구간별로 상한선을 두었고 적용 방법은 사전급여와 사후 환급으로 나뉩니다.

 

사전급여의 경우는 동일한 요양기관에서의 총액이 상한액을 넘길 경우에 해당 요양기관이 금액을 환자가 아닌 공단에 청구하는 것을 말합니다.

 

사후 환급의 경우는 본인 부담 총액이 상한액을 넘겨서 부담했을 경우 공단이 진료받으신 개인에게 되돌려 드리는데 본인 예금계좌로 신청하시면 환급받으실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3. 건강보험료 환급 소멸시효

위에서 말씀드린 대로 건강보험료 환급을 받으시는 기한이 있습니다. 소멸시효가 있기 때문에 납부하신 날로부터 3년 이내에 신청하셔서 권리가 소멸하기 이전에 꼭 환급신청하시기를 바랍니다.

 

4. 건강보험료 환급금 조회 및 신청 방법

건강보험료 환급금 조회 및 신청하시려면 먼저,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를 방문하셔서 로그인합니다.

 

로그인하셨다면 상단 메뉴 첫 번째에 있는 민원여기요를 누르신 후 개인 민원을 클릭합니다.

 

그다음, 환급금(지원금) 조회/신청이라는 메뉴가 보이실 텐데 클릭을 해주시고 개인 민원 업무 목록에서 환급금(지원금) 조회/신청을 클릭해 주시면 됩니다.

 

그다음 조회된 화면에서 보시면 환급금의 종류와 환급금액, 청구 가능 기간이 보이실 것입니다.

 

상세 내용을 확인하시고 나서 하단에 보시면 신청하기 버튼이 있는데 클릭하셔서 신청을 완료해 주시면 됩니다.

 

환급금 신청을 하실 때는 국민건강보험 공식 홈페이지를 방문하시거나 우편이나 전화 혹은 팩스로도 가능하므로 자세한 제출서류 등은 건강보험 담당자나 고객센터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국민건강보험공식홈페이지
국민건강보험공식홈페이지

 

 

5. 국민건강 보험료 산출 방법

매달 꾸준히 빠져나가는 건강보험료는 대체 어떠한 방식으로 산정되어 내 급여 명세서에 표기되는 것일지 명세서를 보시면서 한 번쯤은 생각해 보셨을 것 같은데요.

 

해마다 건강보험료는 조금씩 인상된다는 것을 인지하시고 보험료가 어떻게 산출되어 내 급여 명세서에 찍히게 되는지를 확인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건강보험료 = 보수월액 x 건강보험 요율(7.09%)

 

 

위 공식에서 보수월액이 무엇이냐 하면 내가 현재 근무하고 있는 동일한 사업장에서 지급받은 보수 총액을 월수로 나눈 것을 말합니다. (당해연도에 지급받은 보수총액)

 

그리고 건강 보험료가 해마다 오르는 것은 요율이 해마다 변경되기 때문인데요. 아래 있는 요율표를 보시면 해마다 조금씩 요율이 인상되어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 요율, 단위:%]

적용기간 건강보험료율
2006.1~2006.12 4.48
2007.1~2007.12 4.77
2008.1~2008.12 5.08
2009.1~2009.12 5.08
2010.1~2010.12 5.33
2011.1~2011.12 5.64
2012.1~2012.12 5.80
2013.1~2013.12 5.89
2014.1~2014.12 5.99
2015.1~2015.12 6.07
2016.1~2017.12 6.12
2018.1~2018.12 6.24
2019.1~2019.12 6.46
2020.1~2020.12 6.67
2021.1~2021.12 6.86
2022.1~2022.12 6.99
2023.1~               7.09

 

 

6. 마무리

지금까지 내 건강보험료 환급금 조회 및 신청하는 방법과 환급이유, 환급 소멸 시효, 국민건강보험료 산출 방법, 그리고 요율 변화에 대해서 안내해 드렸는데요.

 

아무리 적은 금액이라도 과오납 된 부분이 있다면 이 환급금 제도를 통해서 손쉽게 되돌려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소중한 정보가 여러분에게 소중하게 쓰이셨기를 바라며 다른 유용한 정보들도 있으니 천천히 둘러보시고 가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